cf. [USDX] Has Risen Too Much? 2019 0605
cf. [USDX] Downward Trend? 2019 0512
cf. [USDX] Non-Farm and Hourly Earnings 2019 0504
예상과는 달리 미 달러는 올해 초부터 강세를 띠었는데요, 지난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한 것도 아닌데 거침없이 오르기만 하던 달러화는 호조를 보이고 있는 미국 경제와는 달리 침체의 늪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머징 마켓과 유로존 경제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겠습니다.
각국의 통화를 상대평가하는 외환시장에서 거침없이 오르기만 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든데요, 상승하기만 하던 달러 역시 점차 투자자들에게 피로감을 주고 조정을 맞이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19일, 한국 시각으로 20일 새벽,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제롬 파월은 미국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했고, 시장에서는 올해 한 번에서 두 번 정도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다음달 금리인하조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 외적인 문제들이 여전히 달러 강세를 지지하고 있어서 조심스러운 시장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 자리에서 여러 번 지적했듯이, 미국과 중국 간 무역갈등은 달러 강세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미중 간 무역갈등은 단순히 무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미국의 행동이 아니라, 앞으로 세계 패권을 누가 잡을 것인가를 놓고 벌이는, 이른바 투키디데스의 함정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무역 갈등이 무력 충돌로 이어지지는 않더라도 장기화할 가능성은 남아있습니다. 무역갈등이 이른 시일 안에 해결되더라도 근본적인 해결이 아닌 일시적 봉합에 불과하고 이번과 갈등 분쟁은 언제고 재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새롭게 미국과 이란과의 갈등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놓고 미국과 이란이 갈등하고 있는데, 얼마 전 두 척의 유람선이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인근 오만해에서 피격당하고, 미국의 드론이 이란의 공격을 받아 격추된 일이 발생했습니다. 미국 무인기 피격으로 미국은 보복공격을 결정했지만 공격 10분 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격을 취소했다고 합니다.
이란 앞 마당 격인 호르무즈 해협은 주요 원유 수송로인데요, 미국과 이란과의 갈등이 고조돼 이 해협이 봉쇄되면 원유수급에 큰 차질이 생기며, 우리나라의 경우 원유 수입에 큰 타격을 입게 됩니다.
미국 달러의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 인덱스는 주간 차트와 일간 차트에서 일정한 채널 안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96.20으로 한 주를 마감한 달러 인덱스는 추가 하락보다는 일정한 채널안에서의 움직임을 반복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달러 강세를 지지하는 요인과 달러 약세를 지지하는 요인이 서로 힘겨루기를 하고 있고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아서라고 보입니다.
통화에 대한 악재와 호재가 혼재하고 있는 만큼 좀 더 조심스러운 시장 접근이 필요하고, 포지션 보유기간을 짧게 가져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e-mail - kmuk001@gmail.com
Telegram - @morgenluft
Telegram broadcasting - t.me/gjallarhorn_report
https://www.facebook.com/Gjallarhorn.report/
https://www.facebook.com/heimdallr999/
http://morgenluft.blogspot.com
Gjallarhorn, Heimdallr, USDX, dollar index, 걀라호른, 헤임달, 달러, 달러인덱스